i000000000 d000000000 o000000000 r000000000 m

 

 

idorm home000 in daejon000 prototype

 

<study model <modeling <unit type A
<unit type B <unit type C <unit type D <esquisse


 
■ idorm unit type B
 

 

■ idorm in daejon interior type B

00 type B에서 침대와 간이 주방가구, 그리고 옷장에 의해 전체 공간이 구획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type A와는 달리 침대 쪽에 fabric 소재의 천을 칸막이로 이용해 texture의 대비적 조화를 유도하고 있다.

00 기존의 아파트나 주거공간의 가구배치는 방 내부의 각 면의 구석에 가구를 붙여 넣은 것이 당연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이면을 살펴보면 이런 현상들이 단순히 공간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한 데에서 기인한 것이 아닌 듯 싶다. 요사이 island 식 주방가구가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주부들은 요리를 할때 벽을 보며 홀로 음식을 준비하고 나머지 가족들과는 단절되어 왔던 현상의 문제점을 인지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는 단순한 합리성만을 추구해서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주거공간을 만들기 보다는 다양한 공간구성을 시도에 주거의 질적인 향상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dorm in daejon 의 interior 특징은 단순히 wall을 이용한 공간구획을 배제하고 벽에 박혔던 가구를 전제공간의 중심으로 끄집어내어 전체 lay-out의 기준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에 가구는 오브제(obzee)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전제공간을 좀 더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00 위의 그림은 C type에 적용된 주방가구와 침대, 옷장의 디자인을 나타낸 것으로 idorm in daejon 에 적용된 4개의 type(A.B.C.D)은 간이주방가구를 벽에 붙히지 않고 침대와 일체화를 시켜 창문쪽을 바라볼 수 있게 계획되었다. 또한 주방가구와 침실으 wall을 낮게 구획해서 시각적으로 무리없는 공간을 연출하여 공간적 연속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home | idorm 가입 | kor | eng | e-mail


Copyright(c) 2000
idorm all rights reserved.